개인 투자자와 중·저신용자를 연결해주는 '개인 간 금융' 즉, 'p2p 업체'의 대출은 승인 가능성이 높아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비대면으로 온라인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따라서 이번에는 p2p 대환대출 중에서 주목받는 3가지 상품을 소개하려 합니다. 대환대출이 필요한 분들은 아래 정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p2p 대환대출 주요 3가지 상품 안내
1. 8퍼센트 대출
8퍼센트라는 이름의 금융 업체는 개인 신용 대출, 부동산 담보 대출, 사업자 대출 등의 다양한 대출 상품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담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대환 대출 상품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아래에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대출 신청 가능자: NICE 평가 점수가 620점 이상인 회사원 또는 자영업자, 사업자 등록 후 1년이 초과된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사업자
- 대출 가능한 금액: 최대 3억원
- 대출 금리: 연 7.40% ~ 연 19.9%
- 대출 기간: 최대 36개월
- 상환 방식: 원금 균등 분할 상환
이처럼, 이 상품은 기존에 채무가 많은 사람들에게도 대환 대출로 활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대출 금리는 최저 연 7.40%에서 최고 연 19.9%이며, 대출 기간은 최대 36개월까지 가능하며, 원금과 이자를 매월 동시에 상환하는 '원금 균등 분할 상환'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2. 렌딧 대출
렌딧에서는 개인신용대출, 부동산담보대출, 사업자대출 등 다양한 대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담보 없이 대환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의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대출 가능한 대상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은 아래의 조건 중 하나를 만족하는 고객입니다.
- 직장인 : 재직기간 3개월 이상, 연소득 2,400만원 이상인 사람
- 프리랜서 : 재직(사업) 기간이 6개월 이상, 연소득 2,400만원 이상인 사람
- 사업자 : 사업기간이 6개월 이상, 연소득 2,400만원 이상인 사람
2) 대출 조건 대출 한도 : 최대 5,000만원
3) 대출 금리 : 연 5.0% ~ 연 19.9%
4) 대출 기간 : 최대 36개월
5) 상환 방법 : 원금과 이자를 매월 동일하게 분할 상환
대출 한도는 최대 5,000만원으로, 금리는 최저 연 5.0%에서 최대 연 19.9%입니다.
또한 대출 기간은 최대 36개월이며, 상환 방식은 매월 원금과 이자를 동일한 금액으로 분할하여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3. 어니스트펀드 대출
어니스트펀드에서 제공하는 개인신용대출과 부동산담보대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신용대출 상품은 대환대출로 활용이 가능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대출 대상
다음의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고객분들이 대출 대상이 됩니다. 직장에 최소 3개월 이상 재직 중인 분 4대 보험 가입자인 분
2) 대출 가능한 금액 : 최대 5천만원
3) 적용되는 이자 : 연 7% ~ 연 19.9%
4) 대출 가능한 기간 : 최대 2년
5) 상환 방식 : 원리금 균등상환, 혼합상환 대출은 최대 5천만원까지 가능하며, 적용되는 이자는 최소 연 7%에서 최대 연 19.9%까지 변동됩니다.
또한, 대출 기간은 최소 1년에서 최대 2년까지이며, 상환 방식은 '원리금 균등상환' 혹은 '혼합상환' 중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맺음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p2p 대환대출은 중저등급 신용자에게도 승인 가능성이 높으며, 타당한 이자율을 제공하고 있어, 대출의 전환을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많은 호응을 받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p2p 대환대출 TOP3 상품을 설명한 내용이 대환대출이 필요한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가 되길 바랍니다.
'복지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연대은행 추천대출 총정리 저소득 저신용 취약계층 무이자 저금리 자금지원 (0) | 2024.02.07 |
---|---|
고금리 대출이자 소상공인 이자환급 지원 정책 신청대상 지원한도 (0) | 2024.02.06 |
국민연금 수급대상자라면 연금담보로하는 생활자금대출 총정리 (0) | 2024.02.05 |
비자발적 퇴사자 실업급여 미지급자 대상 구제지원제도 (0) | 2024.02.02 |
카카오뱅크 신용 마이너스 중신용 중신용플러스 대출상품 신청한도 목적 조건 (0) | 2024.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