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속도측정
인터넷 속도측정 사이트 3곳 (Fast, NIA, 벤치비)에서의 Internet Speed 측정과 함께 사용 중인 인터넷 망제공자 S사에서 각각 인터넷 속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다만, 인터넷 속도라는 게 실제로 망 사업자에서 제공하는 MAX 속도 그대로 나오는 게 아니고 인터넷 설치환경 (아파트 광케이블, 가정 유선케이블 등) 및 PC 성능에 따라 편차가 있으니 이점 참고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오늘 비교는 아래 환경에서 진행되었습니다.
인터넷속도측정환경
- KT : 광랜 1 Gbps (Max)
- PC 환경 : CPU i7, RAM 16GB , OS Win11 (64bit)
* 제 컴퓨터에는 무선랜만 장착되어 있어서 와이파이의 측정값이라 감안해서 보시면 좋겠습니다.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3곳
속도측정 사이트는 3개가 대표적인데요 Fast, 벤치비 그리고 NIA가 있습니다. 위에 안내한 환경 하에 동일한 기준으로 속도 측정을 해보았습니다. 테스트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인터넷속도측정은 측정서버의 위치의 차이로 각각 사이트별로 측정속도의 차이가 발생하니 참고용으로만 활용하면 좋겠습니다.
인터넷속도는 업로드 보다 다운로드를 중요하게 여기죠(스트리밍이라든지, 자료활용등) 위 자료참고하여, 하나씩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FAST사이트
NIA는 별도 설치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테스트하는 위치 지역 등을 확인 및 설정할 수 있습니다. 측정 결과 다운 500 Mbps 업 390 Mbps값이 나왔습니다.
특이한 점이 측정하는 위치를 별도로 설정이 가능하다는 점 정도로 볼 수 있습니다.
벤치비사이트
Site에 접속하면 별도 로그인할 수 있는 화면이 나오는데 Skip 하고 바로 측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속도와 업로드 속도 모두 비슷한 216~250 Mbps 가 나옴을 알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 측정값이 눈에 잘 띄게 데이터를 표현하고 있는 듯합니다.
NIA측정사이트
NIA는 별도 설치 프로그램이 필요합니다. 테스트하는 위치 지역 등을 확인 및 설정할 수 있습니다. 측정 결과 다운 224 Mbps 업로드 258 Mbps의 값이 나왔습니다.
이렇게 제공 서비스 1 Gbps기준보다 많이 못 미치게 나왔지만 제 측정 컴퓨터의 무선와이파이로 테스트 한 점을 감안하면 손실률이 크다하더라도 제공받는 결괏값의 업&다운 평균 200 Mbps라면 실 사용하는데 저는 불만이 없습니다. ^^
이렇게 망 사업자가 제공하는 속도측정 말고, 외부 사이트에서도 속도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KT 자체 제공 인터넷 속도 측정
마지막으로 K 망사업자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품질 측정 사이트에서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인터넷 품질 측정 - [품질 측정 시작하기]를 선택하면, 별도 프로그램 설치 안내 팝업이 생성됩니다. 속도 측정 이전에 별도 프로그램이 설치돼야 진행을 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램설치는 해당 PC내 CPU, 메모리(RAM), OS, 랜정보 등을 수집하기에 별도동의를 하고 설치 가진 행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바로 측정이 가능합니다. 속도는 Download와 Upload 속도가 나오며 기타 핑 테스트로 손실률이 몇 프로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1 Gbps 기준 업로드 다운로드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사업자가 제공하는 측정 Site에서 별도프로그램설치 등으로 인하여 다소 불편함은 있지만, 음성안내 및 이력까지 관리해 주기에 사용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듯합니다.
이렇게 인터넷 속도 측정하는 방법(결괏값이 가장 보수적?으로 나왔네요...)을 확인해 보았습니다. 만약 자신의 인터넷 환경이 사용하는 데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거나 측정값이 제공받는 서비스에 비해 현저히 낮다고 판단되면 애프터서비스신청을 하셔서 인터넷 속도를 최대한 향상하시기를 권장합니다.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컴오피스 한글과컴퓨터 무료이용방법 (0) | 2023.03.26 |
---|---|
마이크로소프트 MS오피스 365 무료다운로드 사용방법 (0) | 2023.01.15 |
블리자드 디아블로4 예약구매시작 23년 6월 6일 출시확정 / 오픈베타 체험 참여 등의 따끈한 소식! (0) | 2022.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