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발표 월급 데이터
고용노동부에서 발표한 월급(급여)을 받는 직장인들의 2022년 데이터 기준으로 정리된 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평균연봉입니다.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들은 이를 알기 때문에 보통 1월에 회사에 재직 중인 직원들의 연봉협상을 새로 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이나 작은 회사들 및 가게, 식당들은 이를 제대로 지키고 있지 못하고 있습니다.
※ 위의 표에서 보면 알 수 있듯이 연봉이 상승하는 만큼 부과되는 세금도 어마어마합니다. 실제 연봉 1억이라면 이중 38%가 세금입니다. (공제 제외)
※※ 오늘 정리한 임금정보는 2021년 12월까지 취합된 자료를 바탕으로 한국노동연구원 임금직무혁신센터에서 연구∙분석한 2022년 최신 평균연봉 추정치입니다.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단,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조사결과에서 표본근로자 수가 60명 이상인 경우에만 취합된 자료이다 보니, 희귀한 직업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예시 : 인간문화재, 우주인 연구소장(?) 같은 특수케이스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대한민국평균연봉으로 계산된 임금 수준은 연 간임금(연봉)이며, 정액급여(기본급+통상적 수당+기타 수당)와 특별수당(고정상여금+변동상여금+성과급등)을합산한 금액입니다.
연장근로수당 및 휴일근로수당 같은 초과급여는 변동성 때문에 여기에서 제외되었습니다.
또한 상용근로자 5인이상사업체의 풀타임상용근로자의 임금 수준이며, 산업분류 중'농업∙임업 및 어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가구 내고용활동 및 달리분류되지 않은 자기 소비생산활동, 국제 및 외국기관'은 임금정보분석에 적합하지 않아 제외되었습니다.
20대 평균연봉 (2022)
참고 :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1. 20대 초중반(20~24세)
▶20대 초중반(20 ~ 24세) 평균연봉은 2,827만 원 (28,266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은 월 203만 원입니다. (부양가족이나 비과세 항목에 따라 개인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사회 초년생 및 대학을 안 가고 바로 취업하는 20대분들의 연봉을 취합된 금액입니다.
▶최저임금도 예전에 비해 많이 올랐고 주휴수당부터 요즘 전체적으로 물가가 오르고 있으니 작년에 비해선 많이 오르긴 했습니다.
▶작년 2021년도(2020년 자료)에는 평균 2549만 원 정도였을 겁니다.
2. 20대 중후반(25~29세)
▶20대 중후반(25 ~ 29세) 평균연봉은 3,464만 원 (34,638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월 254만 원 정도입니다.
▶남자분들의 경우 군대 전역 후 취업을 준비하면 이쯤 되다 보니 평균보다다 낮은 분들도 다수 있을 걸로 보입니다.
30대 평균연봉 (2022)
참고: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1. 30대초중반(30~34세)
▶30대 초중반(30 ~ 34세) 평균연봉은 4,225만 원 (42,247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월 306만 원입니다.
▶20대와 달리 30대가 되면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에서 인정받는 시기이고 스타트업, 중소기업, 대기업에 따라 연봉의 변화가 급변하는 시기입니다.
▶결혼 준비를 하거나 또는 비혼으로 살겠다는 삶의 방향성을 고민하는 현실적인 시기이기도 합니다.
2. 30대 중후반(35~39세)
▶30대 중후반(35 ~ 39세) 평균연봉은 4,942만 원 (49,416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월 352만 원 정도입니다.
▶경험상 이 나이 구간에 이르면 실질적으로 주변지인들 사이에서 연봉차이가 본격적으로 벌어지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 시기부터는 연봉문제로 회사를 그만두고 창업을 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지기 시작합니다.
▶이직을 했을 대우받으며 하기에 좋은 시기입니다.
40대 평균연봉 (2022)
참고: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1. 40대 초중반(40~44세)
▶40대 초중반(40 ~ 44세) 평균연봉은 5,440만 원 (54,396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월 383만 원 정도입니다.
▶보통 연봉 5천이 넘어가면 월 500씩 받을 거라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현실적으로는 그렇지가 않습니다. 세금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400만 원이 조금 안됩니다.
▶경력직으로 가장 대우받는 시기이면서 안정적인 생활이 가능한 시기입니다.
▶본격적으로 이때부터 만년 대리, 만년 과정 이야기를 듣는 분들도 많아지고 직장을 그만두고 본격적으로 자립을 하는 분들도 많습니다.
▶중소기업에서 진급하는 분들이 있다면 연봉이 급격한 상승을 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2. 40대중후반(45~49세)
▶40대 중후반(45 ~ 49세) 평균연봉은 5,646만 원 (56,455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수령액은 월 396만 원 정도입니다.
▶이 시기부터 회사에 정착을 생각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어느 정도 능력 있고 커리어를 쌓은 분이 아니면 나이로 인해 이직하기도 힘들어지기도 한 시기입니다.
50대 평균연봉 (2022)
참고: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1. 50대초중반(50~54세)
▶50대 초중반(50~54세) 평균연봉은 5,666만 원(56,666천 원)입니다.
▶4대 보험료 및 세금을 제외하면 실 수령액은 397만 원입니다.
▶이제 50대가 되면 이때부터는 회사의 눈치가 보이는 시기이기도 하며 승진을 잘해서 부장급 이상이 되었다면 그나마 괜찮지만 그 이하부터는 보통 힘듭니다.
▶연봉도 오르기 힘들며 회사에서 낮은 수준의 업무로 보직이동 시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2. 50대중후반(55~59세)
▶50대중후반(55~59세)평균연봉은5,196만 원(51,957천 원)입니다.
▶4대보험료및세금을제외하면실수령액은월368만원입니다.
▶작년에 비해 고령화가 지속되고 출산율도 떨어지고 요즘은 회사에서도 신입보다는 경력직을 선호하기에 평균연봉이 2021년에 비해 더 높아졌습니다.
▶그럼에도불구하고회사에서정리해고되거나퇴사하게되고재취업하면서급여가낮아지기시작합니다.
▶대부분 직종에서 50대 후반이 되면 직장인 평균연봉이 낮아지게 됩니다.
60대 평균연봉 (2022)
참고: 고용노동부 임금직무정보시스템
1. 60세이상
▶60세 이상 평균연봉은 4,239만원 (42,392천 원)입니다.
▶4대보험료및세금을제외하면실수령액은월307만원정도입니다.
▶만약 이때까지 직장인으로 회사를 다니고 있다면 대부분 65세 전에 정년퇴직을 합니다.
▶나이로인해한참현역시절만큼급여를받기는힘듭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 평균연봉과 연령대(20대, 30대, 40대, 50대, 60대) 별로 직장인 평균연봉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16대 기업 평균연봉과 근속연수 정보 바로가기 [클릭]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버는퀴즈 캐시워크 포인트 현금화방법 앱테크 앱으로 돈벌기 (0) | 2023.01.01 |
---|---|
선물 이벤트 기프티콘 이벤트당첨 사용않는쿠폰 재태크 현금화방법 (0) | 2023.01.01 |
겨울 아이 가족여행 빙어 송어 얼음낚시 눈썰매 겨울 레포츠 추천 (0) | 2022.12.29 |
16대 대기업 평균연봉 순위 근속연수 리스트 엑셀 파일 다운로드 제공 (0) | 2022.12.29 |
자기소개서 작성방법 노하우 무료자기소개서양식 서식 파일 다운로드 (0) | 2022.12.27 |
댓글